🚨 속보! 소비쿠폰 사기 스미싱 소비자 경보 발령!
오늘(9월 22일), 금융위원회에서 2차 소비쿠폰 신청을 앞두고 사기 스미싱에 대한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습니다. 정부가 공식적으로 추천하는 **스마트폰 보안 설정 강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우리 시니어분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모바일 화면을 보며 단계별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 정부 공식 발표: 스미싱 문자 유형
현재 기승을 부리고 있는 스미싱 문자는 다음과 같은 유형이 있습니다. 이런 문자를 받으셨다면 **절대 링크를 누르거나 앱을 설치하지 마세요.**
- **유형 1: 신청 안내 문자**
- "귀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 대상자에 해당합니다. 온라인 센터에서 지원하시기 바랍니다."
- "소비쿠폰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다시 한번 부탁드립니다."
- **유형 2: 지급 금액 확인 문자**
-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금액 확인 및 신청 방법 안내"
정부, 카드사, 지역화폐사 등은 **절대 신청 링크(URL)가 포함된 문자 메시지를 보내지 않습니다.** 어떤 경우에도 링크를 클릭하지 마세요. 이상한 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화면도 마찬가지입니다.
📋 정부 공식 추천: 스마트폰 보안 설정 방법 (갤럭시 기준)
정부가 공식적으로 스마트폰 보안 설정을 강화하라고 권고했습니다. 악성 앱 설치를 막는 **'보안 위험 자동 차단'**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법입니다. 지금 바로 스마트폰을 켜고 따라해 보세요.
✅ 1단계: **'설정'** 찾기
스마트폰 화면에서 **'설정'** 앱을 찾아 터치합니다.
✅ 2단계: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찾기
설정 메뉴에서 화면을 아래로 내려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를 찾고 터치합니다.
✅ 3단계: **'추가 보안 설정'** 찾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화면에서도 아래로 조금 더 내려 **'추가 보안 설정'**을 찾고 터치합니다.
✅ 4단계: **'보안 위험 자동 차단'** 활성화
추가 보안 설정 화면에서 **'보안 위험 자동 차단'** 항목을 찾습니다. 만약 비활성화(꺼져) 있다면 터치하여 활성화합니다. 활성화되면 버튼이 파란색으로 바뀝니다.
'보안 위험 자동 차단' 옆의 버튼이 **파란색**이 되면 정상적으로 설정된 것입니다. 이 상태로 두면 악성 앱 설치와 의심스러운 작업을 자동으로 차단해 줍니다.
📋 금융 피해 발생 시 대처 방법
만약 스미싱에 속아 금융 피해가 발생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즉시 신고해야 합니다.
정부가 **'보이스피싱 통합 신고 대응 센터'**를 **경찰서 번호인 112로 통합**했습니다. 헷갈리지 마시고 그냥 **112에 전화**해서 즉시 **'지급 정지'**를 요청하세요. 금융 정보가 탈취되었을 때 추가적인 금전 피해를 막는 가장 중요한 조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