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서울시 노동 약자 지원금: 입원 시 최대 14일, 건강 검진 시 하루 일당 9만 4천원 지원!

by topcon9 2025. 10. 22.
반응형

📢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제도 (노동 약자 지원금)

서울시가 시행하는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제도'**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일을 하지 못하는 노동 약자(특고, 프리랜서, 1인 소상공인 포함)에게 생활 임금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아는 사람만 받는 지원금이므로, 해당되신다면 꼭 신청하세요.


✅ 1. 지원 내용 및 금액

지원 대상 행위

  • **입원:** 질병/부상 치료 목적 입원 (입원 연계 외래 진료 포함).
  • **공단 일반 건강 검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2년마다 실시하는 **일반 건강 검진만 해당** (암 검진 등 기타 검진 제외).

지원 한도 및 금액 (2025년 기준)

  • 최대 지원 일수: 연간 **최대 14일** (입원 13일, 건강 검진 1일).
  • 하루 지원금액: **94,230원** (2025년 서울시 생활 임금 기준).
  • 예시: 입원 시 최대 약 122만원 (94,230원 x 13일), 건강 검진 시 하루 94,230원 지원.

✅ 2. 신청 자격 기준 (모두 충족해야 함)

① 거주 및 직업 조건

  • **거주:** 공고일 현재 **서울시 거주자**만 해당.
  • **보험:** 국민건강보험 지역 가입자.
  • **활동:** 근로 활동 또는 개인 사업을 유지 중인 노동 약자 (1인 소상공인, 특고, 프리랜서 등 포함).

② 소득 및 재산 기준 (가구 합계)

  • **소득:** 기준 중위 소득 **100% 이하** (가구 총합 기준).
  • **재산:** 재산 합계액 **3억 5천만 원 이하**.

📌 중위 소득 100% 기준 (2025년)

  • 1인 가구: 약 230만 원
  • 2인 가구: 약 390만 원
  • 3인 가구: 약 500만 원
  • 4인 가구: 약 600만 원

※ **가구의 정의:** 주민등록표상 같은 주소에 거주하는 신청인, 부모, 배우자, 자녀 등 모두 포함한 소득 합산.

※ **재산 범위:** 토지, 건축물, 주택, 임차 보증금 등 일반 재산 합산. **금융 재산과 자동차는 미포함.**

③ 입원/검진 관련 조건

  • 입원/외래 진료: 입·퇴원 전후 90일 이내 실시한 건만 지원 가능.
  • 신청 기한: 퇴원일 또는 검진일로부터 **180일 이내** 신청해야 함.

✅ 3. 지원 예외 및 신청 방법

지원 예외 대상

  • 미용성형, 출산, 요양 목적 입원 및 요양병원, 조산원 입원자.
  • 기초생활수급자, 서울형 기초보장, 긴급복지 등 **타 복지 급여 수급자** (중복 보장 불가).
  • 외국 국적자.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한 온라인 신청 가능 (일부 케이스 제외).
  • 방문 신청: **거주지 관할 구청 또는 동 주민센터** 방문 접수.
    • (방문 필수 케이스) 대리인 신청, 본인 명의 계좌로 수령 불가, 13회 미만 신청 시.
  • 문의: **다산콜센터 (☎ 120)**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

💡 핵심 체크: 건강 검진 하루 일당 94,230원!

연말에 건강 검진을 몰아서 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올해(또는 2년마다) 공단 일반 건강 검진 대상이시라면, 검진으로 인해 하루 장사를 쉬어야 할 경우 해당 지원금을 신청하여 **94,230원**을 챙기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