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석식품제조가공업을 신고하거나 위생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필수로 제출해야 하는 서류 중 하나가 바로 ‘제조방법설명서’입니다. 하지만 처음 접하는 분들에게는 형식도 어렵고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할지 막막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식약처 기준에 맞춰 즉석식품제조가공업 제조방법설명서를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작성하는 방법을 항목별로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제조방법설명서란? 작성 전 기본 이해
제조방법설명서는 즉석식품제조가공업 영업신고 또는 식품위생 허가 시 반드시 필요한 서류입니다. 간단히 말하면 “이 식품을 어떻게 만들고, 어떤 절차와 재료, 위생관리 기준을 따를 것인가”를 정리한 문서입니다. 이는 행정기관(보건소 또는 지자체)에서 식품 안전성을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작성 시 중요한 점은 ‘본인이 실제로 하려는 조리·가공 방식’을 기반으로 작성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순히 인터넷에서 복사한 예시가 아닌, 나의 조리방식에 맞춘 설명이 들어가야 합니다. 작성 전 반드시 준비해야 할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제품명 (예: 간장불고기 도시락, 닭가슴살 샐러드)
- 주요 원재료 및 출처 (예: 국내산 돼지고기, 친환경 쌈채소 등)
- 조리공정 순서 (세척 → 절단 → 가열 → 포장 등 단계별 정리)
- 위생관리 기준 (도구 세척 주기, 보관 온도, 교차오염 방지 대책 등)
이해가 선행되면 작성은 훨씬 쉬워지며, 보건소에서의 수정 요청 가능성도 크게 줄어듭니다.
항목별 작성 순서와 예시
제조방법설명서는 대부분 엑셀이나 워드 양식으로 제공되며,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 제품명: 실제 판매할 상품명을 적습니다. 예: 참치마요 삼각김밥
- 제품 유형: 즉석조리식품, 즉석섭취식품 등으로 분류
- 원재료 및 함량: 재료명과 비율을 %로 기재 (예: 밥 60%, 닭가슴살 20%)
- 제조공정 순서: 단계별로 구체적 작성 (예: 세척 → 절단 → 가열 → 포장)
- 사용기계 및 설비: 전기오븐, 밀봉기, 진공포장기 등
- 위생관리 사항: 손씻기, 위생복 착용, 도구 교차 사용 금지, 보관온도 등
이처럼 항목별로 구체적인 예시와 수치를 넣으면 승인 확률이 높아집니다.
작성 팁과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너무 복잡하게 쓰면 탈락? → 맞습니다. 5~10단계 이내, 간결한 문장으로.
- 인터넷 예시 복붙? → 안됩니다. 본인의 조리방식에 맞게 수정 필수.
- 직접 작성이 어려우면? → 식약처, 소상공인 지원센터, 컨설팅 활용 가능.
- 제출 방법은? → 보건소 위생과 방문 또는 온라인 접수(일부 지역).
- 보관 온도 기재 필수? → 예. 냉장 5도 이하, 냉동 -18도 이하 명시.
즉석식품제조가공업의 제조방법설명서는 단순한 형식 문서가 아닌, 내 식품의 안전성을 증명하는 핵심 자료입니다. 작성 전 충분히 내용을 이해하고, 항목별로 구체적인 수치와 실제 운영 방식을 반영한다면 작성은 어렵지 않습니다. 지금 준비 중이신 사업이 있다면, 오늘 알려드린 순서와 팁을 참고해 손쉽고 정확한 제조서류를 완성해보세요!